
[금융소비자뉴스 김영준 기자] 지난 23일 별세한 고 김종필 전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훈장 추서를 두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김 전 총리가 현대사 주역이었고 총리로서 국가에 봉사한 만큼 훈장 추서가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훈장 추서'를 반대하는 게시글이 67여 건 올라와 있다. 24일 오후 6시 현재 '김종필 국가훈장을 반대합니다'라는 청원에는 3036명이 서명했다.
상훈 업무를 담당하는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24일 서울아산병원에 마련된 김 전 총리의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훈장 추서에 대해 “무궁화장으로 결정이 된 것으로 안다”며 “총리실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궁화장은 ‘정치·경제·사회·교육·학술 분야에 공을 세워 국민 복지 향상과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되며 ‘국민훈장’ 중 가장 높은 등급이다.
앞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23일 김 전 총리를 조문한 뒤 “한국 현대사의 오랜 주역이셨고, 전임 총리셨기에 공적을 기려 소홀함 없이 모실 것”이라며 훈장 추서 방침을 밝혔다. 이 총리는 빈소에 훈장을 먼저 보내고 26일 국무회의에서 사후 의결할 것이라는 입장도 덧붙였다.
하지만 김 전 총리에게 무궁화장을 추서하는 문제를 두고 정치권 안팎에서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이날 조문을 마친 뒤 "한국 사회에 남긴 족적에 명암이 있고, 국가에서 충분히 예우를 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별히 논란이 될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도 "명암은 엇갈리지만 우리 근대사에 큰 족적을 남긴 어른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믿는다"며 "정부가 훈장을 추서하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찬성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김 전 총리에 대한 정부의 서훈 방침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 전 총리가 5·16 군사쿠데타의 주역인 데다, 인권탄압으로 악명 높은 중앙정보부 창설자였으며 굴욕적인 한·일 국교수립의 협상 책임자였던 점 등을 들어 훈장 추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반면 민중당 이은혜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무궁화 훈장 결정 방침에 대해 "수많은 민주열사가 저승에서 통곡할 일"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그가 남긴 과오를 보면 자연인 김종필의 죽음조차 애도하고 싶지 않을 정도"라며 "박정희와 함께 4.19 혁명을 쿠데타로 짓밟은 역사의 범죄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고인의 삶이 우리 사회에 얼마나 큰 폐해로 남았는지 평가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이 우선되어야 할 때"라며 국민훈장 추서 방침을 철회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