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에 청원서 제출…"상장 유지는 재매각 위한 절대적 조건" 강조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재매각을 추진 중인 쌍용차가 상장폐지라는 암초에 걸렸다.
에디슨모터스와의 인수·합병 무산으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쌍용자동차가 한국거래소에 상장 유지를 위한 개선 기간을 추가로 부여해 달라고 청원했다.
쌍용차 노조는 21일 상장폐지 사유 해소를 위한 개선 기간 연장을 요구하는 청원서와 평택시장 명의의 탄원서를 거래소에 제출했다.
2020년 감사인의 감사의견 거절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쌍용차는 지난해 4월 25일부터 지난 4월 14일까지 1년 간의 개선기간을 부여받았지만, 매각 무산으로 상장폐지 사유를 해소하지 못하면서 또다시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급박한 상황이다.
선목래 쌍용차 노조위원장은 이날 청원에 앞서 "매각 절차에 따라 회생계획안이 인가됐다면 상장폐지 사유가 해소됐을 것이지만 인수자가 인수 대금을 납입하지 못하면서 매각이 무산됐다"며 "매각 불발 이후 '스토킹호스' 방식의 재매각을 추진 중인 쌍용차 입장에서는 상장폐지가 결정될 경우 재매각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5만명의 쌍용차 소액주주와 협력업체를 포함해 20만 노동자들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상장폐지에 따른 재매각 실패는 쌍용차 파산이라는 끔찍한 후폭풍을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쌍용차 상장 유지는 재매각을 통한 회사 정상화를 위해 절대적인 조건"이라며 개선 기간 연장을 요청했다.
아울러 노조는 임금 삭감과 무급순환 휴직 등 자구 노력을 통해 회사 정상화에 힘쓰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개선 계획을 담은 이의신청을 거래소에 제기했다.
박장호 쌍용차 생산본부장은 "현재 나름대로 인수 의향자가 많이 나오고 있어 상장폐지 요건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현재 쌍용차 인수전에는 KG그룹과 쌍방울그룹, 파빌리온PE, 이엘비앤티 등 4곳이 뛰어든 상태로 현재 예비실사를 진행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