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부담' 산업부·기재부 인상 폭 협의 중...다음주 결정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고유가 여파로 올해 한국전력의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는 가운데 다음주 전기료 인상 결정을 앞두고 한전과 정부가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전이 올해 대규모 적자를 해소하려면 통상 평균 전력을 쓰는 가구당 전기요금을 8만원 이상 인상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회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올해 적자를 해소하려면 내달 kWh(킬로와트시)당 261원 수준의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한전은 4분기 전력판매량을 13만5876GWh(기가와트시)로 추정하고 올해 35조4000억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증권사들이 전망하는 한전의 연간 영업손실 규모는 평균 28조8423억원이지만 이달 들어 전력 도매가격(SMP·계통한계가격)이 급등해 한전의 적자 산출액에 근접한다는 예상이다.
한전이 발전사들에서 전력을 사 올 때 적용되는 SMP는 이달 1~20일(육지 기준) kWh당 227.48원으로, 월평균 기준 역대 최고치인 올해 4월 201.58원을 훨씬 웃돌고 있다.
이 같은 SMP에 따라 한전이 수지를 맞추려면 월평균 전력사용량(307㎾h)을 사용하는 4인 가구를 기준으로 kWh당 261원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9월 전기요금이 10만원 나온 4인 가구라면 오는 10~12월에는 월 18만원씩을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전이 한꺼번에 전기요금을 kWh당 261원이나 올릴 수는 없기에 현재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간에 인상 폭을 놓고 협의가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한전이 4분기 손익분기점을 맞추려면 연료비 조정단가를 kWh당 50원 올려야 하지만 현재 조정폭은 ±5원으로 제한돼 있어 상·하한폭을 확대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전기요금과 도시가스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18.2%, 18.4%로 전체 평균(5.7%)의 3배 이상이라 정부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김회재 의원은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은 물가안정 때까지는 최소화하고 취약계층 지원 대폭 확대 등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