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코스피 상장사의 불성실공시가 최근 5년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나 감독 당국의 원인 규명과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살펴본 결과 2017년부터 지난 8월까지 불성실공시로 제재금이나 벌점을 받은 건수는 코스피 상장사 78건, 코스닥 상장사 540건, 누적 제재금은 유가증권시장이 13억8900만원, 코스닥시장이 71억5000만원이었다고 22일 밝혔다.
코스피 상장사의 불성실공시는 2017년 9건, 2018년 9건, 2019년 14건, 2020년 14건, 2021년 18건, 2022년 14건(7월까지)으로 증가 추세로 분석됐다.
이 기간 2회 이상 불성실공시가 적발된 코스피 상장사는 10곳이었고, 5회 적발된 기업도 있었다.
반면 코스닥 상장사의 불성실공시는 2017년 71건, 2018년 101건, 2019년 119건, 2020년 121건으로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99건으로 감소하고 올해 7월까지 적발 건수도 29건에 머물렸다.
133개 기업이 2회 이상 공시를 위반했는데 이 중 7회, 6회 위반한 기업은 각각 1곳, 4곳이었다.
박재호 의원은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 등록한 기업 정보는 투자자들에게 투자 정책을 결정하게 하는 만큼 투명하고 공정한 자본시장에 매우 중요하다"면서 "전문인력이나 기업 내부의 정보 전달 시스템이 잘 갖춰진 코스피 시장에서 불성실 공시가 늘어나는 것에 대한 감독 당국의 원인 규명과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