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분양시장 한파로 인해 서울 아파트의 '분양 완판' 기록이 3분기에 깨졌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3분기 서울 민간아파트 평균 초기분양률이 직전 분기보다 7.3%포인트(p) 하락한 92.7%로 2019년 2분기(91.3%)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분양 개시일 이후 경과 기간이 3개월 초과∼6개월 이하인 사업장의 총 분양 가구 수 대비 계약 체결 가구 수 비율을 말하는 초기 분양률이 수치대로라면 3분기에 서울 아파트 100가구 중 7가구는 초기 분양에 실패한 셈이다.
서울 아파트 초기분양률은 2020년 1분기 100%를 달성한 뒤 지난해 2분기 한 차례 99.9%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올해 2분기까지 100%를 유지해왔으나 이번에 깨진 것이다.
3분기 수도권 초기분양률은 93.1%, 전국은 82.3%로 각각 하락했다.
작년 4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3분기 연속 100%를 이어오던 부산도 3분기 79.0%로 급락했다.
이 밖에 충북 77.1%, 전남 67.3%, 경북 38.0%, 제주 66.3%도 초기분양률이 크게 떨어졌다.
이 같은 초기 분양률 급락은 연내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데다 집값 추가 하락 우려로 매수 심리가 극도로 위축되며 분양시장이 침체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 1∼9월 전국 민간분양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부동산R114)은 9대 1로 지난해 경쟁률(19대 1)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며, 같은 기간 당첨자 가점 평균도 23점으로 작년(34점)과 비교해 11점이나 하락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