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은 성장세 유지...3분기 누적순이익 흑자 기업 67.20%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코스피 상장사들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13조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 넘게 감소했다. 건설, 철강, 화학 등 업종의 실적 악화 때문이지만 가장 큰 원인은 한국전력 적자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12월 결산 상장기업 601개사(금융업 등 제외)의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24.51% 늘어난 2084조233억원이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146조2452억원으로 1% 느는 데 그쳤고, 순이익은 113조2192억원으로 12.35%나 줄어들었다.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3%포인트, 2.28%포인트 감소한 7.02%, 5.43%를 기록했다.
이 같은 실적 악화는 3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이 21조8342억원에 달한 한전이 깎아내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전을 제외하면 연결 매출액은 24.78%, 영업이익은 15.18% 증가했고, 순이익도 -0.67%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순이익에 포함된 네이버의 종속기업 처분이익(14조9000억원) 효과를 배제하면 순이익도 전년 대비 약 12% 증가했다"는 게 거래소의 설명이다.
3분기 실적만 놓고 보면 매출은 726조327억원으로 작년 대비 3.46%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30.35% 감소한 39조3666억원, 순이익은 37.04% 줄어든 27조6733억원이었다.
한전 제외 시 연결 매출은 706조2598억원으로 작년 대비 2.92% 늘지만, 영업이익(46조8975억원) 25.61%, 순이익(33조5575억원) 31.22%로 각각 감소폭이 줄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유가증권시장 분석 대상 601개사 중 3분기 순이익 누적 흑자 기업은 483개사(80.37%)로, 작년 동기(505개사) 대비 22개사(3.66%포인트)가 감소했다.
적자 기업은 118개사로 19.63% 수준으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연결 부채비율은 120.09%로 작년 말 대비 3.70%포인트 높아졌다.
영업이익이 줄어든 것은 업종별로 한국전력을 포함한 전기가스업, 건설업, 철강 등의 부진이 두드러진 탓이다.
코스피 시장에서 연결 결산실적 기준으로 17개 업종 중 전기가스업(적자전환), 건설업(-25.43%), 철강금속(-9.67%) 등은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전기가스업은 3분기 누적 영업손실이 20조3898억원에 달했다.
금융업종 중에서는 금융지주(6.43%), 은행(10.37%)은 작년 동기 대비 순이익이 크게 증가한 반면, 증권(-47.09%), 보험(-6.35%)은 부진한 성적을 냈다.
이 같은 영향에 금융업 43개사(개별 제외)의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36조7829억원, 순이익은 28조5539억원으로 각각 5.39%, 5.37% 감소했다.
유가증권시장과 달리 코스닥시장 상장기업들은 영업이익, 순이익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거래소와 코스닥협회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기업 1070개사의 연결기준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12% 증가한 198조8425억원이다. 영업이익은 12조5178억원으로 11.25%, 순이익은 10조2149억원으로 3.14% 늘었다.
영업이익률(6.30%)과 순이익률(5.14%)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61%포인트, 0.96%포인트 하락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정보기기(504.87%), 숙박·음식(215.47%), IT부품(110.89%), 일반전기전자(82.37%), 기계·장비(54.37%), 금속(52.62%), 통신장비(31.54%) 등의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한 반면 방송서비스(-40.41%), 디지털컨텐츠(-38.13%), 유통(-19.27%) 등은 감소했다.
코스닥시장에서 분석 대상 1070개사 중 순이익 흑자 기업은 719개사(67.20%)고, 351사(32.80%)는 적자를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108.68%로 작년 말 대비 1.92%포인트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