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고위 인사들이 인플레이션을 상대로 한 연준의 싸움이 내후년까지 이어질 거라는 관측을 잇따라 내놓았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28일(현지 시각) 뉴욕경제클럽 주최 온라인 행사에서 “아마도 2024년에나 우리가 명목 금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단계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내 기본적인 견해는 지금보다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며 “아직 할 일이 많고, 최소 내년까지는 제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윌리엄스 총재는 현재 6.2%에 이르는 물가상승률이 올해 말까지 5~5.5%로, 내년에는 3~3.5%로 둔화될 것으로 봤다. 다만 주거비나 서비스 비용 상승 등 기저의 물가 압력을 낮추기 위해서는 추가 통화 긴축이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추가적인 통화 긴축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연준에서 의장·부의장에 이은 3인자로 꼽히는 인물로, 제롬 파월 의장의 최측근이다. 연준에서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에 가까운 인물인 그가 이날 내놓은 발언은 매파(통화 긴축 선호)에 가깝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준의 2인자인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도 이날 발표한 글을 통해 인구 통계 및 세계화와 같은 힘에 의해 고물가 바람이 불면 전 세계 중앙은행이 최근 수십 년 동안 겪었던 것보다 더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에 직면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이날 마켓워치가 주최한 행사에서 "시장은 FOMC가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보다 공격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리스크를 다소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불러드 총재는 최종금리가 5~7% 사이가 될 것이라는 자신의 기존 전망을 재확인하면서 "물가상승률을 (연준의) 목표치인 2%로 되돌릴 수 있도록 제약적인 정책 금리 수준에 머물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