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 유동성 부족 겪는 중소기업 늘어...조달금리 인상도 부담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레고랜드 사태 이후 중소기업들이 잇따라 만기가 돌아온 어음을 갚지 못하며 기업 어음부도율이 2개월째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전국의 어음부도율은 0.20%로 9월(0.26%)에 이어 0.2%대를 나타냈다.
10월 부도율은 지난 2017년 6월(0.28%)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았던 전월을 제외하면 2018년 5월(0.2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어음부도율은 어음교환소에 교환 회부된 전체 기업 자기앞수표, 당좌수표, 약속어음, 전자어음 중 부도 처리된 금액의 비율이다.
올해 들어 어음부도율은 지난 1월 0.02%를 시작으로 2월 0.03%, 3월 0.05%, 4월 0.10%, 5월 0.14%, 6월 0.08%, 7월 0.01%, 8월 0.02% 등으로 4ㆍ5월을 제외하고는 0.1%를 하회하는 등 안정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9월 들어 갑자기 0.26%로 치솟은 뒤 10월에도 0.2%대를 이어갔으며, 부도 금액은 8월 373억원에서 9월 4678억원으로 급증했다. 부도업체 수도 8월 9곳에서 9월 13곳, 10월 20곳으로 늘었다.

9월 부도율이 급등한 것은 레고랜드 조성사업 추진을 위해 설립된 아이원제일차가 발행한 205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부도 처리된 데 따른 것이며 그 여파가 10월까지 미쳤다는 분석이다.
한은 관계자는 "레고랜드 아일원제일차 부도와 같은 하나의 큰 요인이 발생해 9월 어음부도율이 일시적으로 높아졌다"면서 이후 회사채 발행시장 부진, 기업대출 금리 상승 등 자금시장 경색으로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다만 "어음 만기일에 일시적으로나마 예금 잔고가 없으면 일단 부도 금액으로 잡힌다"면서 "다만 이들 업체가 최종적으로 파산할지 여부는 이후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자금시장 경색으로 중소기업들의 자금조달 부담도 크게 늘었다.
한은에 따르면 10월 기업 대출 금리는 9월(4.66%)보다 0.61%p 높아진 연 5.27%로, 10년 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지표 금리가 상승한 데다 회사채 시장 위축으로 은행 대출 수요가 확대되면서 중소기업은 대기업(5.08%)보다 높은 5.49%의 대출 금리를 적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