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올해 첫 금리인상 '베이비 스텝' 예상...서비스가격 상승세는 걸림돌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세가 누그러지며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6.5% 오른 것으로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가 발표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같은 수치는 지난 2021년 10월 이후 14개월 만에 최소폭으로, 전년 대비 6개월 연속 CPI가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6월 9.1%까지 치솟았던 CPI 상승률이 10월 7.7%에 이어 12월 6%대 중반으로 내려온 것이다.
12월 CPI는 코로나19 사태 발생 직후인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 대비 하락(0.1%)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CPI 상승세 완화는 최근 에너지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식료품 가격 상승폭도 둔화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이 복원되고, 소비자들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자동차와 컴퓨터 등 상품의 가격이 떨어진 것도 한몫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5.7%, 전월보다 0.3%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11월 상승폭(0.2%)보다는 다소 늘었지만, 지난 8월과 9월에 기록한 0.6%와 비교하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12월까지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의 3개월 평균 상승률도 3.1%로 1년여 만에 최소폭이다.
이처럼 12월 CPI에서 인플레이션 압력 감소가 확인됨에 따라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연준은 통화정책 완화에 대한 시장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연내에는 기준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는 신호를 보낸 바 있다. 통화정책 방향 전환에 대한 시장의 낙관론이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는 연준의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이유에서다.
실제로 연준이 이달 초 공개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19명의 FOMC 위원 중 2023년 중 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 위원은 한 명도 없었으며, 이들이 제시한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치도 5.0∼5.25%로 현재보다 0.75%포인트 높았다.
하지만 12월 CPI가 개선됨에 따라 다음 달 1일 열릴 FOMC 정례회의에서는 0.50%포인트보다는 0.25%포인트 금리인상안에 무게가 실릴 것이란 관측이다.
지난해 4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 인상)에 이은 12월 0.5%포인트 인상에서 인상 폭이 더 작아질 것이란 예상인 것이다.
다만 상품가격의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가격의 꾸준한 상승세와 노동시장에서의 수요 초과 현상으로 인한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이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대 달성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올해 연준의 금리인상에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