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주요 손해보험사들의 지난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전년과 유사한 80% 수준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올해는 차량 이동량 증가, 새해 자보료 인하 결정 등 영향으로 손해율이 나빠질 것이란 전망이다.
2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 등 대형 5개사의 자보 손해율은 전년(80.3%) 대비 0.1%포인트(p) 하락한 평균 80.2%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삼성화재가 81.7%로 0.2%p, 현대해상이 80.3%로 0.9%(p), KB손보가 80.2%로 1.2%p 각각 내렸다.
반면 메리츠화재와 DB손해보험는 전해보다 1.6%p, 0.3%p 각각 올랐다.
이들 5개 대형사의 자동차보험 시장 점유율은 90% 수준에 육박해 전체 자보 시장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보험사는 작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70%대에 머무는 등 손해율이 개선된 모습을 보였으나 하반기 들어 폭우와 태풍에 따른 침수 피해와 겨울철 강설ㆍ결빙으로 사고가 늘면서 손해율이 전년 수준으로 상승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이후 자보 손익분기점에 해당하는 손해율인 80% 선 이상으로 높아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거리두기 해제에 이어 실내 마스크 착용 완화, 유가 하락 등으로 차량 이동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비요금 인상, 새해 자동차 보험료 인하 결정 등도 자보 손해율 악화에 일조할 것이란 예상이다.
앞서 국내 손해보험사들은 올해 1분기 책임개시 계약부터 자동차 보험료를 2.0∼2.9% 내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