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김나연 기자]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경제성장률이 수출, 민간소비 등이 타격을 받으면서 전기 대비 0.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간 GDP 성장률로는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0.4% 줄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4% 성장했다.
전기 대비 역성장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시작된 2020년 2분기(-3%) 이후 2년6개월 만에 처음이다.
분기별 성장률을 보면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2%) 연속 역성장을 보인 이후 같은 해 3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9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기록한 바 있다.
다만 성장 폭은 갈수록 쪼그라들었다. 2020년 3분기 2.3%였던 성장률은 같은 해 4분기 1.2%를 기록했다. 이어 2021년 1분기 1.7%, 2분기 0.8%, 3분기 0.2%, 4분기 1.3%, 2022년 1분기 0.6%, 2022년 2분기 0.7%, 2022년 3분기 0.3% 등을 나타냈다.
지난해 4분기 성장이 줄어든 것은 민간소비와 수출 부진해서다.
지출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전분기 대비 0.4% 감소했다. 가전제품, 의류·신발 등 재화와 숙박음식, 오락문화 등 서비스 부문의 소비가 줄어든 영향이다.
반면 정부소비는 물건비,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3.2%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비주거용 건물건설 등을 중심으로 0.7%, 설비투자는 기계류를 중심으로 2.3%씩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5.8% 감소했으며 수입은 원유, 1차 금속제품 등이 줄어 4.6% 하락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서비스업 등이 증가했으나 제조업의 감소 폭이 확대됐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감소했으나 교역조건이 개선돼 0.1% 증가했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2.6% 증가, 연간 경제성장률 목표치와 부합했다.
지출항목별로는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감소했고 수출과 수입은 증가세가 둔화됐으나 민간소비 등은 증가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의 증가 폭이 축소됐으나 서비스업의 증가 폭이 소폭 확대됐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유가 상승 등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 GDP 성장률을 하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