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코스피 상장사 LG전자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3조5천510억원으로 전년보다 12.5%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69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0.7% 줄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2.5% 감소한 수준이다. 매출액은 83조4천673억원으로 처음 80조원대를 돌파했다. 2021년 대비 12.9% 늘어난 수준으로 지난해 처음 70조원대를 넘어선 후 1년 만에 다시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LG전자의 연간 실적은 시장 예상치에 다소 못 미친다. 연합인포맥스가 LG전자의 연간 실적을 전망한 4개 증권사를 대상으로 컨센서스를 실시한 결과 영업이익은 3조7천572억원으로 예상됐다.
4분기 기준으로는 영업이익 693억원으로 90.7% 급감하며 어닝 쇼크를 기록했다. 매출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21조8천575억원과 2천124억원이다.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 사업본부는 매출 29조8천955억원으로 7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워시타워와 크래프트아이스 얼음정수기 냉장고, 스타일러 등의 제품이 주로 인기를 얻었다.
다만, 물류 및 원자재비 인상 영향에 영업이익은 1조1천296억원으로 전년보다 줄었다. TV 수요 감소로 HE 사업본부는 매출 15조7천267억원, 영업이익 54억원을 거뒀다.
전장사업은 처음으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VS사업본부의 연간 영업이익은 총 1천696억원으로, 2015년 이후 7년 만에 처음 흑자를 냈다.
B2B 사업을 담당하는 BS사업본부는 매출액 6조903억원, 영업이익 252억원을 기록했다. IT 제품 수요 감소의 영향이 있었으나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매출은 두 자릿수 증가한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경쟁 심화 및 재고 수준 유지를 위한 비용 지출로 줄었다.
LG전자는 향후 추가 성장 동력을 마련하는 데 주력한다. 또 공급망 관리로 안정적 수익성 확보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H&A사업본부는 일관성 있는 프리미엄 전략을 지속하며 가전 1위의 시장 지위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볼륨존 제품 경쟁력 또한 대폭 강화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제품 구매 이후에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며 고객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업(UP)' 가전을 해외 주요 시장으로 본격 확대한다. 또 물류비와 원자재 가격 등이 안정화 추세에 접어들고 있는 점을 기회로 삼는 동시에, 원가 개선 활동을 지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