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지난해 주택 시장이 침체되면서 국내 인구 이동자 수가 43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입신고 기준으로 집계한 전국 이동자 수는 615만2000명으로 전년보다 106만1000명(14.7%) 줄었다.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했으며, 감소폭은 1979년 이후 43년 만에 가장 컸다.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70년 이후 감소 폭이 가장 컸던 해는 1976년(-223만8000명)이다. 지난해는 1979년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감소 폭이 컸다. 인구 이동 100명당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인구이동률은 12%로 전년보다 2.1%포인트 감소했다.
주된 전입 사유는 주택(34.4%), 가족(23.7%), 직업(23.4%) 순이었다. 지난해 주택 때문에 이동한 사람은 211만6000명으로 2021년 271만4000명보다 59만8000명 감소했다. 비중도 1년 전(37.6%)보다 3.2%포인트 줄었다.
지역별로 보면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4만4000명), 인천(2만8000명), 충남(1만4000명) 등 7곳이었다.
반대로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3만5000명), 경남(-1만9000명), 부산(-1만4000명), 대구(-1만2000명), 울산(-1만명) 등 10곳이었다.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1%)와 30대(18.9%) 등 젊을수록 높은 반면 60대(7.4%), 70대(5.4%), 80세 이상(6.0%) 등 고연령층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이동자의 중위연령은 전년보다 0.6세 감소한 33.7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