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시장금리가 연초부터 하향됐지만, 증권사가 고객에게 대출해주는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은 오히려 올라 투자자들의 이자부담이 커지고 있다.
신융거래융자는 증권사가 고객의 보유주식과 현금 등을 담보로 잡고 일정 기간 주식 매수 자금을 빌려주는 대출이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DB금융투자, 하이투자증권, 유안타증권 등 증권사들은 이달부터 신용융자거래에 적용되는 이자율을 인상한다.
금융사별로 보면 DB금융투자는 기간별로 현행 5.76∼9.9%인 신용거래 이자율을 오는 15일부터 6.06∼10.20%로 인상한다. 하이투자증권은 현행 7.1∼9.6%인 이자율을 다음 달 1일부터 7.1∼9.9%로 일부 올린다.
유안타증권은 이달 13일부터 일부 고객 그룹·사용 기간에 따른 이자율을 0.05∼0.25%포인트씩 올린다. 이에 따른 최고 이자율은 10.40%이다.
미래에셋증권은 8∼15일(7.8%)부터 90일 초과(9.8%)까지의 신용융자 이자율은 유지하지만, 단기(1∼7일)에 대한 이자율은 현행 4.9%에서 27일부터 5.9%로 올리기로 했다.
이미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을 두 자릿수로 인상한 증권사도 많다. 최고 금리 기준으로 삼성증권(10.1%), 신한투자증권(10.0%)이 10% 이상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NH투자증권, KB증권, 대신증권, 메리츠증권, SK증권 등도 9% 후반대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안팎에서는 CP·CD 금리가 안정세를 보여도 증권사가 신용융자거래 이자율에 이를 반영하지 않거나 오히려 인상해 투자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증권사 관계자는 “지난해 글로벌 긴축기조에 따른 금리인상으로 증시 하락장에서 수익을 방어하기 위해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을 낮추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올해도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을 낮추기 위한 움직임은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는 대개 신용융자 금리 설정 시 양도성예금증서(CD)나 기업어음(CP) 금리 등을 기본금리로 설정한 뒤 가산금리를 얹는 방식을 취한다.
작년 11∼12월 4%를 넘어섰던 CD 91일물 금리는 6일 기준 3.47%로 떨어졌고, 최고 5.54%까지 올랐던 CP 금리도 6일 기준 4.32%로 하락했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증권사가 신용융자거래 금리를 올릴 때는 광속으로 하면서 내릴 요소가 생길 때 반영은 하세월"이라며 "은행 예대금리차 비교공시와 같은 제도가 없어 감시의 사각지대에 있는 증권사에 대해서도 비교공시가 의무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투자자들의 신용융자 규모는 소폭 감소 추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신용융자 잔액은 작년 9월 19조원 수준에서 이달 3일 기준 16조3천613억원으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