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카드사 연체율에 선행 평가지표 활용한 건전성 관리 강화할 것”

[금융소비자뉴스 김나연 기자] 국내 주요 금융사가 대출 부실에 대비해 역대급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고금리로 가계·기업 대출 연체율 상승세가 뚜렷해지면서 건전성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기 때문이다.
1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카드의 지난해 카드 대출 연체율은 전년 0.82%보다 0.19%포인트(p) 상승한 1.01%로 나타났다.
연체율 상승 폭이 가장 큰 곳은 전년보다 0.55%p 상승한 우리카드(1.21%)였다. 같은 기간 업계 1위 신한카드 연체율은 0.24%p 오른 1.04%를 기록했다. 이어 국민카드(+0.10%p), 하나카드(+0.05%p) 순이었다. 삼성카드는 전년과 동일한 연체율을 나타냈다.
지난해 금리가 오르면서 주요 금융사가 사상 최대 이자이익을 거둔 반면, 빚 갚기 어려워진 이들이 제 때 대출 상환을 못하면서 연체율도 슬그머니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년 만에 기준금리가 3%대 오른 작년 4분기엔 금리 상승 부담이 누적되면서 연체율도 밀려올라갔다.
카드 대출 차주들은 다른 금융권보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다보니 다중채무자가 많은 만큼 빚부담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실제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카드사를 포함한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의 다중채무자 비중은 56.1%로 은행 27.4%, 상호금융 34.2%보다 높다.
카드사들은 금리 인상으로 고객 상환 여력이 낮아지고, 연체 등 부실 위험이 커질 것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렸다.
5개 카드사의 지난해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7천464억원으로 전년 1조4천558억원 대비 20% 증가했다.
금융감독당국도 카드사들의 다중채무자 대출과 일부 결제금액 이월약정(리볼빙) 부실에 대비해 충당금을 더 쌓으라고 주문했다. 지난 6일 발표한 금감원 업무계획을 통해서는 연체 전이율, 정상 입금률, 현금서비스 한도 소진율 등 연체율에 선행하는 평가지표를 활용한 건전성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중소·서민 금융사의 위기 상황 분석 등을 통해 건전성 악화가 우려되는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를 조기 식별하고 신속한 재무구조 개선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