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사 임원·매니저 투자현황 제출 요구…손익차등형 펀드 ‘부적절 투자’ 여부 규명

[금융소비자뉴스 김나연 기자] 금융감독원이 부동산 펀드 운용역들의 부적절한 개인 투자 의혹과 관련해 자산운용사 전수 조사에 나섰다. 부동산 펀드의 성과가 지난 몇 년간 우수했던 만큼 운용역 일부가 사익 추구의 수단으로 사용했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12일 금융투자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달 국내 모든 자산운용사에 임원·매니저들의 자사 펀드 투자 현황 및 규모를 제출해달라고 요구했다.
금감원은 특히 부동산 펀드 운용역 일부가 자사 운용 펀드를 통해 부적절한 사익 추구를 했다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운용역들이 선순위(1종)와 후순위(2종)로 구분, 손익을 분배하는 손익차등형 펀드를 이용해 불법적인 투자를 했는지도 점검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 부동산 펀드 운용역들이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선순위 상품에 일반 투자자 자금을 넣고 후순위에는 자기 자금을 넣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부동산 펀드는 통상 1종이 고정 수익만 가져가고 2종이 나머지를 모두 취하는 형태로 설계된 경우가 많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반 투자자와 정보 비대칭이 큰 부동산 펀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뒤 불법적인 정황이 발견될 경우 현장 검사 등 후속 조처를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금융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