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주택담보대출(모기지론)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가계 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17조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계부채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기지론의 담보 자산 압류는 양호한 상태로 전해졌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15일(현지시간) 공개한 1분기 가계 부채 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 미국의 전체 가계 부채가 전분기보다 0.9% 늘어난 17조500억달러(약 2경2856조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 같은 수치는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보다 2조9000억달러 불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기지 대출은 3월 말 현재 전 분기보다 1210억달러 증가한 12조400억달러였다.
특히 신규 모기지 대출은 전분기보다 35%, 전년 동기보다 62% 각각 급감한 총 3240억달러로, 지난 2014년 2분기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직후 '제로 금리'로 호황을 누리던 부동산 관련 대출은 지난해 봄부터 시작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여파로 위축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지난해 30년 고정 모기지론의 금리가 6%대를 넘어서며 모기지론을 받는 것이 이제 미국인들에게 쉽지 않은 일이 됐다.
지난 2020년 3월 이후 1400만 건의 모기지 리파이낸싱이 이뤄졌고, 이 중 약 64%가 낮은 금리로 대출을 갈아타려는 목적이었다고 뉴욕 연은은 보고했다.
다만 연준의 금리인상 여파로 시중 모기지 금리가 6%대 중반을 찍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담보 자산 압류는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 밖에 학자금 대출은 전분기보다 90억달러 증가한 1조6000억달러 , 오토론은 100억달러 늘어난 1조5600억달러로 기록됐다.
신용카드 연체율은 0.6%포인트, 오토론 연체율은 0.2%포인트 각각 증가해 팬데믹 이전과 비슷하거나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