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국내 3대 조선업체 중 하나인 대우조선해양이 45년 만에 간판을 대우에서 한화로 바꿔달았다.
대우조선해양은 23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오션플라자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사명을 '한화오션'으로 바꾸는 내용을 포함한 정관 변경안을 통과시켰다.
이로써 1973년 대한조선공사 옥포조선소로 출발해 1978년 대우그룹에 인수되면서 '대우조선공업'으로 이름이 바뀌고 이어 2002년부터 사용해왔던 '대우조선해양'으로 이어왔던 '대우' 사명이 45년 만에 수명을 다했다.
이에 따라 국내 조선산업은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의 3강 체제로 당분간 유지될 전망이다.
주총에 이어 이날 중 한화그룹이 대우조선에 대한 2조원 규모 유상증자 주금 납입을 완료하면 지분 49.3%로 대주주가 되고 인수 절차는 최종 마무리된다.
한화는 잠수함, 구축함 등 대우조선의 특수선 분야 역량을 흡수함으로써 기존의 항공우주·지상 방산에 해양 분야까지 더해 육해공 종합 방산업체로 몸집을 키워 '한국판 록히드마틴'에 다가서게 됐다는 평가다.
이날 주총에서는 한화오션 초대 대표이사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측근인 권혁웅 ㈜한화 지원부문 부회장을 선임했다. 김종서 전 한화토탈에너지스 대표와 정인섭 전 한화에너지 대표도 함께 사내이사로 이름이 올랐다.
권 신임 대표는 에너지 분야 전문가로 한화오션이 기존 조선산업에 안주하지 않고 토탈 에너지 기업으로 진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승연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도 기타 비상무이사로 이사진의 일원이 됐다.
사외이사로는 미국 조지 H.W 부시(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의 손자이자 젭 부시 전 플로리다주지사의 아들 조지 P. 부시(마이클 앤 프리드리히 로펌 파트너)를 비롯해 이신형 대한조선학회 학회장, 현낙희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 김재익 전 KDB인프라자산운용 대표이사, 김봉환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가 선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