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발전 자회사·그룹사들 출자회사도 포함돼 있어...전기요금 주식으로 대납받기도"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 중인 한국전력공사의 출자회사가 500개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 전인 2018년 말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30일 공공기관 경영 정보 공개 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타법인 투자 및 출자 현황이 있는 공공기관(부설기관 포함) 144곳의 지난해 말 출자회사 수는 전년 말 대비 5.5% 증가한 2112개에 달했다.
4년 전인 2018년 말과 비교해 41.6%(621개) 증가하며 최근 5년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공공기관의 출자회사 수는 2018년 말 1491개에서 2021년 말 2001개로 2000개를 돌파했고 지난해 더 늘었다.
지난해 말 현재 출자회사가 가장 많은 공공기관은 한국전력공사(한전)로 전체 공공기관 출자회사의 23.5%에 달하는 무려 496개의 출자회사를 보유했다.
이어 한국자산관리공사(89개), 한국산업은행(85개), 주택도시보증공사(83개), 한국해양진흥공사(81개), 중소기업은행(53개), 한국토지주택공사(50개), 한국사학진흥재단(42개), 한국남동발전·한국서부발전(각 41개), 한국중부발전(40개), 한국동서발전(37개), 한국수력원자력(37개), 한국가스공사(35개), 한국남부발전(33개) 등 순이었다.
한전의 지난해 말 출자회사 수는 2018년 말 245개에서 4년 만에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출자 목적별로 경영 참여가 42개, 일반 투자가 34개, 단순 투자가 420개로, 출자금액은 31조원이었다.
.
지난해 32조6000억원의 막대한 영업손실을 기록한 한전은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 중으로, 관련 방안에 출자 조정 등도 포함돼 있다.
이 같은 출자회사 급증에 대해 한전은 자체 출자회사만이 아니라 발전자회사들, 그룹사들의 출자회사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전력공사 관계자는 "전기요금을 못 받으면 상대방 회사가 주식으로 대납하는 때가 있는데 이는 지분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도 출자회사로 간주할 수 있어 출자회사 수에는 일부 허수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출자금액도 회계상 장부가액으로 실제로 한전이 출자한 금액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출자회사에 이익잉여금이 발생하면 자본금이 올라가고 최초 출자금액에 더해지는 구조여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