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코로나19 엔데믹 국면으로 외부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지난달 의류·신발 물가가 1년 전보다 8.0% 올라 31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7일 통계청의 지출 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 5월 의류 및 신발 물가 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8.0% 올랐다.
지난 3월과 4월 각각 6.1% 오른데 이어 5월에는 상승률이 8.0%까지 뛰면서 1992년 5월(8.3%) 이후 3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지난달에는 의류와 신발이 각각 8.4%, 5.8% 올랐다. 장갑이 18.1%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티셔츠(14.3%), 원피스·여자 하의·아동복유아복(13.7%), 청바지(11.8%), 세탁료(11.3%) 등도 높은 상승률을 이끌었다.
5월 의류·신발 물가는 전월 대비 상승률도 3.1%로 높았다.
이 같은 의류·신발 물가의 가파른 오름세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오름세가 둔화하는 흐름과 대조적이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작년 7월 6.3%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달 3.3%로 점차 둔화됐다.
그러나 의류를 비롯해 음식·숙박(7.0%), 기타 상품·서비스(6.4%), 가정용품·가사서비스(6.0%), 주택·수도·전기·연료(5.9%), 식료품·비주류 음료(3.9%), 오락 및 문화(3.8%) 등에서는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총지수보다 상승률이 낮은 부문은 교육(2.2%), 보건(1.6%), 통신(0.9%), 주류·담배(0.2%), 교통(-6.9%) 등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