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강승조 기자] 지난 2분기(4∼6월) 국내 기업들의 성장·수익성 지표들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은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2962개(제조업 1만1604개·비제조업 1만1358개)의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 줄었다고 12일 밝혔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축소된 것은 2020년 4분기(-1.0%) 이후 처음이며 감소율도 2020년 2분기(-10.1%) 이후 가장 컸다고 했다.
제조업의 경우 글로벌 성장세 둔화와 IT(정보기술) 경기 침체 등으로 매출 감소 폭이 -6.9%로 1분기(-2.1%)보다 더 커졌다. 석유화학(-17.1%)과 기계·전기전자(-15.4%)의 매출 부진이 두드러졌다.

비제조업 매출 증가율도 기저효과와 운임지수 하락의 영향으로 1분기 3.6%에서 2분기 -0.7%로 급락했다. 전기가스(19.8%→10.0%), 운수(-5.9%→-14.8%) 업종의 증가율 하락 폭이 컸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2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3.6%로 작년 2분기(7.1%)의 약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수익성 지표도 악화됐다. 세전 순이익률은 6.0%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p) 낮아졌다.
제조업 영업이익율은 반도체 가격 하락에 따른 재고자산 평가손실과 해운 운임 하락, 건설현장 붕괴 재시공에 같은 기간 8.6%에서 2.9%로 크게 떨어졌다. 기계·전기전자(12.1%→-1.6%)와 운수업(15.8%→8.7%), 건설업(6.5%→3.3%)의 이익률 하락폭이 컸다.
비제조업의 영업이익률도 작년 2분기 5.1%에서 올해 2분기 4.6%로 내려왔다.

다만 전체 기업의 2분기 부채 비율(90.8%)은 1분기(95.0%)보다 낮아졌고, 차입금 의존도(26.0%)에는 변화가 없었다.
"12월 결산법인은 미지급 배당금을 (장부상) 부채로 잡아놓기 때문에, 2분기 배당금이 지급되면서 부채비율이 소폭 하락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