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상반기 증권사가 발행한 파생결합증권은 31조2000억원, 상환액은 35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말 기준 손실 발생 구간(녹인·Knock-In)에 진입한 주가연계증권(ELS) 잔액은 7조원대로 파악됐다.
15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3년 상반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ELS(ELB 포함)와 기타연계증권(DLS·DLB)을 합산한 전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31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29조3000억원) 대비 1조9000억원 증가했다.
상환액은 상반기 글로벌 주요 증시가 상승하며 조기상환 규모가 늘며 35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조9000억원 늘어났다.
상환액이 발생액을 상회하면서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은 6월 말 기준으로 지난해 말(102조2000억원) 대비 5조9000억원 감소한 96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말 기준 녹인이 발생한 ELS 잔액은 전체 파생결합증권 잔액(96조3000억원)의 7.3% 수준인 7조458억원으로, 전년 말(7조3000억원)보다는 3000억원 감소했다.
녹인은 작년 홍콩H지수 약세에 따라 주로 홍콩H지수를 편입한 ELS에서발생한 것으로, 작년 발생분이 7조336억원, 올해 상반기 발생분이 121억원으로 파악됐다.
녹인 발생 ELS 잔액의 대부분(6조원·85.6%)은 내년 상반기에 만기를 맞는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ELS 투자자들의 손실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홍콩H지수는 중국 부동산 발 경기 둔화 및 중국 경제 불확실성 심화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되는 추세"라며 "향후 H지수 추이 및 녹인 발생 관련 투자자 손실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