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정윤승 기자] 지난 달 전체 서울 아파트 거래량에서 상승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52.9%로 22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제주, 경북 등 지역에서는 상승거래 비중이 줄며 지역별 격차가 고스란히 나타났다.
27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8월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중 직전 거래가보다 1% 이상 상승한 가격에 거래된 건은 전체의 52.90%로 집계됐다. 2021년 10월 이후 가장 큰 상승 거래 비중이다.
직전 거래보다 1% 이상 하락한 거래 비중은 30.77%로, 2021년 10월 이후 하락 거래 비중이 가장 작았다.
이번 분석은 동일한 아파트 단지의 같은 면적 주택이 반복 거래됐을 때 직전 거래와의 가격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취소된 거래나 주택형별 최초 거래, 직전 거래 후 1년 이상 지난 거래는 집계하지 않았다.
서울의 지난 8월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52.9%, 하락거래 비중은 30.7%를 기록했다. 서울은 5%이상 상승한 ‘대폭 상승’ 거래량도 전체 26.8%로 7월(25.32%), 6월(25%), 5월(21.1%)에 이어 꾸준히 늘었다.
지역별로 거래 양상은 다르다. 제주는 7월 49.1%에서 8월 44.8%, 경북은 7월 46.5%에서 8월 44.7%로 상승거래 비중이 각각 감소했다.
경남도 7월 45.6%에서 8월 44.9%로 상승 거래가 줄었다. 제주, 경북, 경남을 제외하면 모든 지역에서 상승거래가 늘었다.
미분양 추이를 봐도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시장 양극화를 느낄 수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6일 발표한 8월 주택 통계를 보면 수도권 미분양은 7676가구로 전월(8834가구) 대비 13.1% 감소한 반면 지방은 5만4135가구로 전월(5만4253가구) 대비 0.2% 줄어드는 데 그쳤다.
분양 격차도 컸다. 8월 누계 기준 수도권 공동주택은 5만2126가구 분양돼 전년 동기 대비 28.7% 감소했지만 지방은 4만2323가구로 같은 기간 53.3%로 절반 이상 급감했다.
그렇다고 수도권 시장의 전망이 밝은 것만도 아니다. 최근 정부가 특례보금자리론과 50년만기 주택담보대출 자격 조건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부부합산소득 1억원만 넘어도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사실상 수도권 맞벌이 부부의 자금 동원력이 크게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직방 관계자는 "정부가 특례보금자리론과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자격 조건을 강화하는 조치를 발표하면서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강화로 수요가 위축될 여지가 있다"며 "현재처럼 상승 거래량의 지속적인 증가가 이어질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