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 전년동월대비 4.4% 상승. 3개월 연속 상승세. 수입가격은 평균 12.8% 인하
반면 수출가격은 평균 8.9% 내려. 8월 소독교역조건지수도 3.8% 상승. 작년 8월 국제유가가 많이 올랐던 영향

[금융소비자뉴스 정윤승 기자] 지난 8월 우리나라 교역조건이 3개월 연속 개선됐다. 지난해 급등했던 국제 유가의 기저효과로, 수출 가격보다 수입 가격 하락폭이 더 컸던 영향이다.
교역조건이란 한 나라가 한 단위의 상품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 즉 수출품과 수입품의 수량적인 교환비율을 말한다. 우리나라 주력 수출상품인 자동차 가격 상승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되었다면 자동차 1대를 팔아서 수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전보다 더 많아졌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3년 8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지난달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4% 오른 87.67을 기록하며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순상품교역수지는 지난 6월 27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적이 있다.
8월 수입가격은 평균 12.8% 내린 반면 수출가격은 8.9% 내려 수입가격 하락폭이 더 컸던 영향이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1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수치로, 플러스는 우리나라가 해외에 물건을 팔아서 사올 수 있는 상품의 양이 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품의 양을 의미한다.

8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 대비 3.8% 상승했다. 8월 수출물량지수는 0.6% 하락,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수입물량지수는 12.1% 하락, 하락폭이 더 컸다. 반면 8월 수출금액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9.5%, 수입금액지수는 23.3%씩 각각 하락했다.
수출금액지수는 운송장비와 기계 및 장비 등이 증가했지만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17.3%), 석탄및석유제품(-35.05%) 등이 많이 내렸다. 11개월 연속 하락세다.
수입금액지수(141.16)는 6개월 연속 하락했다. 전기장비(0.6%) 등이 증가했고, 광산품(-15.4%),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19.8%) 등이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최근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추세이지만 많이 올랐던 지난해보다는 아직 낮은 수준으로, 석유 화학 등 수출입금액 등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