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이성은 기자] 미래에 인공지능(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큰 직업이 의사, 회계사, 변호사 등 고소득 전문직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AI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직업별 AI 노출 지수를 근거로 고학력·고소득 근로자일수록 AI에 더 많이 노출돼 있어 대체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AI 노출 지수는 AI 특허와 직업별 주된 업무를 조사, 현재 AI 기술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가 해당 직업의 업무에 얼마나 집중돼 있는지를 나타낸 수치다.
AI 노출 지수가 높은 직업을 보면 일반 의사와 한의사가 상위 1% 이내로 최상위권에 들었다. 전문 의사(7%), 회계사(19%), 자산운용가(19%), 변호사(21%) 등도 상위권이었다.
이 외에도 화학공학 기술자, 발전장치 조작원, 철도 및 전동차 기관사, 상하수도 처리 장치 조작원, 재활용 처리 장치 조작원, 금속 재료공학 기술자 등이 AI로 대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 지수가 낮은 직업으로는 음식 관련 단순 종사자, 대학교수 및 강사, 상품 대여 종사자, 종교 관련 종사자, 식음료 서비스 종사자, 운송 서비스 종사자 등이 제시됐다.
세부적으로보면 기자는 상위 86%로 AI노출지수가 낮았다. 성직자(98%), 대학교수(99%), 가수나 경호원(하위1%) 등은 최하위권에 속했다.
한은은 최근 AI 관련 특허 중 의학산업 분야가 많아져 단순 진단 등의 일부 의사 업무는 AI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기자의 경우 AI가 주어진 정보로 기사 작성은 할 수 있겠지만 대면 취재 업무를 대체할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AI 대체 지수가 낮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AI 노출 지수 상위 20%에 달해 대체 가능성이 큰 일자리는 전체 일자리의 12%에 해당하는 약 341만개로 추산됐다. 상위 25%로 확대할 경우, 약 398만개로 늘어난다.
한은은 AI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임금 불평등을 비롯해 소비자 보호 악화, 이윤 독점 강화, 민주주의 기능 약화 등의 사회적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삼일 한은 고용분석팀장은 “AI로 인한 생산성 증가는 전반적인 노동수요 증가 및 임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대체효과는 특정 그룹에 집중되는 만큼 교육 및 직업 훈련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팀워크·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소프트 스킬(soft skill)이 앞으로 더 많은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