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장 취임 앞서 '원죄(原罪)' 털고 가야

지난 2010년 9월 국내 굴지의 신한금융그룹에서는 이른바 ‘신한사태’라는 불행한 일이 일어났다. 신한 사태는 이 때 라응찬 전 신한지주 회장과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이 신상훈 전 신한지주 사장을 횡령,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면서 드러난 경영 내분을 말한다.
대법원 판결이 아직 나오진 않았지만 신 전 사장에 대한 배임·횡령 등 대부분 혐의는 2심까지 무죄를 받았다. 은행 주변에선 그동안 '윗선'의 불법 행위를 감추고자 이들이 신 전 사장을 거짓 고발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왔다.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이 신 사장을 밀어내기 위해 시작한 소송전은 신 사장이 대부분의 혐의에 대해 무죄 처분을 받은 가운데 현재 대법원 판결만 남겨 놓은 상태다. 신한금융그룹이 7일 최대 계열사인 신한은행 수장으로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을 낙점했다. 신한사태 당시 위 사장은 신한지주에서 홍보담당 부사장을 맡아 라 전 지주회장 편에 섰던 인물이다.
위 사장은 1985년 신한은행에 입행한 후 신한금융에서만 일한 정통 ‘신한맨’으로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행장 선임 과정에서 다시 불거진 신한사태의 ‘원죄(原罪)’를 숙명적으로 안고 있다. 시민단체인 금융정의연대는 최근 위 내정자를 위증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신한금융 자회사경영관리위원회(자경위)는 “과거 신한사태와 관련해 시민단체가 위 내정자를 검찰에 고발한 내용에 대해서는 신한은행 준법감시인을 통해 설명을 듣고 논의 후에 은행장 후보로 추천하는 데 있어 문제가 될 사항이 아니라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은 신한사태와 무관한 화합형인 조 행장이 차기 회장이 됐으니 신한은행장은 철저하게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능력에 따라 선임돼야 한다는 의견을 고수했다고 한다.
하지만 위 내정자가 신한은행 행장에 취임하기에 앞서 털고가야 할 문제가 많다는 것이 금융계 안팎의 공통된 지적이다. 비록 6년6개월이라는 시간이 지났어도 은행 주변엔 신한사태의 상처와 앙금이 여전히 광범위하게 널려있는 탓이다. 위 내정자에 대한 반대여론이 너무 높아 신한금융그룹에서 다시금 지난 2010년 ‘신한사태’의 내홍에 휩싸일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적지 않다.
아직까지도 신한사태에서 신상훈 전 사장의 경우 위 사장을 포함한 라응찬 전 회장 사람들이 ‘없는 죄’를 뒤집어 씌우는 바람에 재판정에 섰다가 무죄판결을 받아 명예회복을 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는 지적이 금융계에 적지 않다. 신한사태에서 라 전 회장의 측근으로 신한사태를 일으킨 장본인인 위 사장이 행장에 취임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위 사장은 신한사태의 아픔을 치유하고 다시 일류은행의 입지를 다질 수 있는 인물로서는 적절치 못하다는 비판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금융정의연대가 위 사장을 위증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하면서 밝힌 혐의는 두가지이다. 위 사장이 지난 2010년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으로 재직할 당시 신한 사태를 기획·실행하고, 검찰 조사와 법원에서 위증하고 위증을 교사했다는 의혹이다. 야당에서도 위 사장을 부적절한 신한은행장 후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죄를 지은 신자가 회개하고 하느님께 돌아올 수 있는 예식이 바로 고해성사이다. 이를 통해서 죄 때문에 받을 벌을 면제해 주고, 죄의 유혹과 싸워 이길 힘을 키워 준다고 가톨릭은 가르친다. 그렇다면 위 사장은 취임 전에 신한사태에 대한 고해성사 또는 양심고백이라고 한 번 쯤 해야 한다. 그것이 적게는 신한사태 때 직접적으로 상처와 피해를 입은 사람들, 크게는 신한은행의 신용과 신뢰를 믿는 국민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일 것이다.
저작권자 © 금융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