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김나연 기자] 금융감독원이 올해 은행권에서 발생한 대규모 횡령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내부통제 강화를 지속 추진한다. 또 지배구조 감독 강화를 위해 당국과 은행 이사회간 소통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6일 발표한 올해 업무계획에서 "공공재 측면이 있는 은행의 지배구조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이사회 기능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근 우리금융지주를 포함한 금융지주와 KT, 포스코 등 소유구조가 분산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선임과 관련한 여러 논란이 이어지면서 이른바 '주인 없는 회사'들의 지배구조 선진화 문제가 화두로 부각된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달 30일 금융위원회 업무보고 토론회 당시 금융사 지배구조의 투명성 제고 필요성을 강조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장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은행 등 경영진의 성과보수체계의 적정성 등도 점검한다.
금융그룹 사업부문장의 권한과 책임 범위 및 사업부문내 의사결정절차 등을 포괄하는 사업부문제(Matrix) 운영 관련 개선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지주 사외이사가 이사회 운영, 그룹 리스크 통제 및 내부통제체계 등 주요 지배구조 이슈에 대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주제별 간담회를 개최하고, 신규 선임 사외이사 대상 워크숍 등을 통해 사외이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식 제고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부적격 대주주의 일반사모운용업 진입 방지를 위해 대주주 변동현황을 점검하고 신규 진입 대주주의 적격성 확인방안을 마련한다.
금융회사 및 금융복합기업집단 책임경영 환경 조성에도 힘을 쏟는다. 금융그룹 계열사간 공동투자에 대한 리스크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그룹 차원의 위험평가·사후관리 등 가이드라인 마련한다.
또 금융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내부통제 강화를 추진하고 금융사고에 대한 적시대응체계를 마련한다. 가령 일정규모 이상 거액 금융사고 등 사회적 물의를 야기한 사고 발생 시 원칙적으로 즉시 현장점검이 실시될 방침이다.
한편 금융회사 책임경영 문화 조성이외에도 금감원은 △금융시스템 안정 △민생금융 감독 강화 △금융산업 혁신 및 미래성장 지원 등을 올해 추진전략으로 삼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