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도윤 기자]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통한 메신저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으나 금융당국은 속수무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국민의힘)은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자료를 살펴본 결과 2018∼2022년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22만7126건, 피해 금액은 총 1조664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유형별로는 대출빙자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9998억원(60.1%)으로 과반을 차지했고, 이어 기관 사칭 3799억원(22.8%), 메신저피싱(지인 사칭)이 2849억원(17.1%) 순이었다.
특히 지난해 전체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의 89%(2만5534건)는 지인을 사칭한 스마트폰 메신저피싱으로 나타났다.
지인 사칭 메신저피싱의 경우 피해 건수 비중은 2018년 14%(9607건), 2019년 11%(8306건), 2020년 34%(8921건), 2021년 85%(2만5287건), 2022년 89%(2만5534건) 등으로 2021년 이후 급증했다.
피해액 역시 2018년 216억원, 2019년 342억원, 2020년 373억원, 2021년 991억원, 2022년 927억원 등으로 불어났다.
메신저피싱에 활용된 메신저는 대부분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으로, 메신저 종류가 신고된 피해 건수 총 2만4808건 중 95%에 달했다.
강 의원은 "지난 3년간 메신저를 통한 보이스피싱이 급증하고 있고 작년에는 국민 보이스피싱 피해 10건 중 9건이 메신저피싱으로 인한 피해인데도 금융당국이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며 "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카카오톡을 통한 메신저피싱을 차단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관련 기관과 협의하고 신속히 마련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