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비자뉴스 박혜정 기자]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도 지방이 부동산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전월 대비 하락했다.
2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1월(66.6%)보다 3.3%포인트 하락한 63.3%이다.
수도권은 75.2%에서 77.1%로 올랐으나 5대 광역시는 65.8%에서 60.6%로 5.2%포인트 하락하는 등 지역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서울(79.2%→79.7%)과 인천·경기(73.2%→75.8%)는 입주율이 올랐고, 광역시 외 지역은 63.9%에서 60.1%로 3.8%포인트 떨어졌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매 지연'이 44.4%로 가장 컸고 이어 세입자 미확보(33.3%), 잔금대출 미확보(14.3%), 분양권 매도 지연(1.6%) 등 순이었다.
주산연은 최근 발생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와 수출 부진, 경기침체 확장 등으로 인해 당분간 주택시장이 침체국면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달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월 72.1에서 80.2로 상승했다.
수도권은 67.5에서 71.0으로, 도 지역은 71.2에서 87.3으로 상승하고, 광역시는 75.7에서 75.4로 소폭 하락할 것이란 예상이다.
주산연은 "광역시 지역을 제외하고는 입주전망지수가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했다"며 "이는 규제지역 전면 해제, 전매제한 기간 완화, 무주택자 대출 규제 완화 등 주택시장 연착륙 대책에 대한 기대심리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