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가계부채 감소세 둔화…연체율은 높아지는 추세로 건전성 악화

[금융소비자뉴스 김나연 기자] 한국은행이 2년 가까이 통화 긴축 기조를 이어가고 있으나, 한국의 가계 빚은 여전히 국가 경제 규모 대비 세계 주요국 중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30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보고서를 보면 1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 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한국이 102.2%로 가장 높았다.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어섰다는 것은 가계부채 규모가 경제 규모를 넘어섰다는 의미다.
이어 홍콩(95.1%), 태국(85.7%), 영국(81.6%), 미국(73.0%), 말레이시아(66.1%), 일본(65.2%), 중국(63.6%) 등의 순이었다.
1년 전인 지난해 1분기의 105.5%와 비교하면 3.3%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8월부터 시작된 기준금리 인상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코로나19 기간 중 발생한 유동성 과잉으로 인한 투자 과열, 생활고 등이 불러일으킨 부채 증가를 낮추기에는 효과가 충분하지 못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 부채의 경우 오히려 상황이 더 나빠졌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GDP 대비 한국 비금융기업의 부채 비율은 1년 사이 3.1%p 상승했다.
269.0%인 홍콩과 163.7%인 중국, 126.0%인 싱가포르보다는 낮았지만, 1년 동안 기업 부채 비율이 늘어난 국가는 10개국에 불과했다.
한국의 GDP 대비 정부 부문 부채의 비율은 44.1%, 전년 동기 대비 증감 폭은 -3.2%p로 중위권을 기록했다.
시중은행 동향을 살펴보면 가계부채 감소는 둔화세에 접어들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 25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76조 8547억원이다.
지난달 말과 비교하면 6143억원이 감소한 수치지만, 올해 들어 월간 감소폭은 1월 3조 8858억원, 2월 3조 1972억원, 3월 4조 6845억원, 4월 3조 2971억원으로 지난달 들어 크게 줄어들었다.
한은이 집계한 4월말 기준 예금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52조 3천억원으로 전월인 3월보다 2조 3천억원이 늘어나면서 오히려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때문에 부실 대출로 인한 금융기관의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5대 은행의 4월말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리금 연체 기준)은 평균 0.304%로, 한 달 전인 3월의 0.272%보다는 0.032%p, 1년 전인 지난해 4월의 0.186% 대비로는 0.118%나 높아졌다.